장난감 버리는 법 총정리! 종류별로 깔끔하게 분리배출

아이들이 자라면서 쌓이는 장난감. 더 이상 사용하지 않거나, 고장난 장난감들을 어떻게 정리할지 고민이시죠?

장난감은 소재가 다양하고 전자 부품이 섞인 경우도 많아 종량제 봉투에 무작정 넣으면 안 되는 품목입니다.

오늘은 플라스틱 장난감, 전자 장난감, 인형, 대형 장난감 등 종류별로 올바르게 폐기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분류별 분리수거 정보

1. 플라스틱 장난감 버리는 법

가장 흔한 형태의 장난감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플라스틱 재질이라고 해서 모두 재활용이 되는 건 아니에요.

  • 재활용 가능: 단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품 (예: 작은 블록)
  • 일반 쓰레기: 여러 재질이 혼합되었거나 금속, 고무, 전자부품 포함 시

대부분은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분리 가능한 부품은 나누고, 일반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합니다.

Tip

  • 작은 금속 나사 등은 제거
  • 크기가 클 경우, 대형생활폐기물로 신고해야 할 수도 있음

2. 전자 장난감(건전지 포함) 폐기

불빛이 나오거나 소리가 나는 장난감은 대부분 배터리나 전자부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분리 배출 요령

  • 1단계: 건전지 분리 후 따로 폐건전지함에 배출
  • 2단계: 장난감 본체는 플라스틱/금속 여부 확인
  • 3단계: 재질 혼합 시 일반 종량제 봉투로 배출

단, 건전지가 내장되어 분리되지 않는 경우엔 ‘소형 가전류’로 분류하여 지자체 재활용센터 또는 수거함을 활용하세요.

3. 인형류(천 재질, 봉제 인형) 버리는 법

천 인형, 봉제 장난감은 의류류와 달리 재활용이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 상태가 나쁘거나 훼손된 경우: 종량제 봉투
  • 크기가 큰 경우: 압축 포장 후 종량제 봉투 또는 대형폐기물 신고
  • 상태가 양호한 경우: 기증 가능 (장난감 나눔센터, 복지기관 등)

인형류는 속에 솜, 플라스틱 뼈대, 전자장치 등 혼합물이 들어 있을 수 있어, 소재별로 분리한 뒤 배출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4. 대형 장난감 (미끄럼틀, 붕붕카 등)

플라스틱 미끄럼틀, 푸쉬카, 주행 가능한 자동차형 장난감 등 부피가 큰 장난감은 ‘대형생활폐기물’로 분류됩니다.

신고 및 배출 절차

  1. 거주 지자체의 대형폐기물 신고 사이트 접속
  2. ‘장난감’ 또는 ‘유아용품’으로 품목 검색
  3. 수수료 결제 후 신고필증 출력 → 장난감에 부착
  4. 지정된 날짜에 배출

수수료는 보통 1,000원~5,000원 사이이며,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5. 장난감 기증 or 중고 판매도 고려해보세요

상태가 양호한 장난감은 버리지 말고 나눔이나 중고 거래를 통해 다시 사용할 수 있어요.

  • 기증처: 장난감도서관, 아동복지시설, 지역 나눔센터
  • 중고 플랫폼: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단, 고장나 있거나 위생이 좋지 않은 장난감은 기증 대상이 아닐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6. 장난감 분리배출 시 주의사항

  • 건전지는 반드시 분리 후 별도 배출
  • 강한 접착이나 나사가 있는 경우 칼이나 드라이버로 분리
  • 봉투에 넣기 어려운 크기는 반드시 신고 후 배출
  • 리튬이온 배터리 장난감은 소형 폐가전 분리 수거 대상

마무리하며

장난감은 단순한 쓰레기처럼 보여도 재질이 복잡하고 처리 기준이 다릅니다.

종류별로 올바르게 분리하고, 상태가 좋은 장난감은 나눔을 통해 지속가능한 소비를 실천해보세요.

환경을 생각하는 작은 실천이, 아이들에게도 좋은 본보기가 됩니다.